2022년 우리동네 기후변화 분석 경진대회

기상청

D+1037

2022년 07월 14일 ~ 2022년 08월 30일 마감

📌

대외활동 사기? 대외활동 거르고 고르는 방법 & 요즘것들 '신호등' 기능 추가 보러가기

*개요

○ 대 회 명 : 2022년 우리동네 기후변화 분석 경진대회

○ 공모주제 : 기후정보포털*에서 제공되는 기후변화 과학 정보를 활용하여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우리나라, 지역 또는 동네의 기후변화 현황⸱전망⸱영향 등을 분석

 * 기후정보포털(www.climate.go.kr): 기후변화과학 다큐멘터리,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분석서, 한반도 100년의 기후변화 보고서, IPCC 1.5℃특별보고서(SPM) 등

○ 공모대상 : 기후변화과학에 관심있는 전 국민(개인 또는 3인 이하 팀)

※ 기상청 및 산하기관 근무자는 참여 제한

○ 주 최 : 기상청


*공모일정

○ 공모기간 : 2022.07.15.(금) ~ 2022.08.31.(수) 24:00 까지

○ 심 사

- 규격심사 : 2022.09.05.(월) ~ 2022.09.07.(수) 

- 1차(온라인) 심사 : 2022.09.13.(화) ~ 2022.09.16.(금) 

- 대국민 표절 제보 : 2022.09.17.(토) ~ 2022.09.23.(금)

*홈페이지 제보 및 운영사무국 이메일(2022climate@gmail.com)제보 

- 2차(오프라인)발표심사 : 2022.09.27.(화) 13:30 ~ 18:00

○ 수상자 사전 연락 기간 : 2022.09.28.(수)

○ 당선작 발표 : 2022.09.29.(목) 분석 경진대회 누리집 발표

※ 주최 측 사정에 따라 세부일정은 변경될 수 있으며, 변경 시 경진대회 누리집을 통해 공지 예정


*응모방법

○ 접수방법 : 분석 경진대회 누리집(http://www.climate-science.info)를 통한 온라인 접수

- 분석 요약서 및 분석서 접수

※ 분석 요약서는 누리집 [공지사항 - 분석 경진대회] 에서 양식 다운로드

(상단의 '양식 다운로드' 글자를 누르시면 '분석 요약서'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)

※ 분석서는 자유양식으로 작성하되, 분량은 한글 10페이지, PPT 30매 이내로 준수

○ 출품점수 : 1인(팀) 1작품 제한

○ 분석자료 : 기후정보포털 제공자료 중 1종 이상 필수 분석

- (기후요소) 평균기온, 최고기온, 최저기온, 강수량

- (극한기후지수) 폭염일수, 여름일수, 열대야일수, 한파일수, 서리일수 등 27종

- (응용정보) 농업 12종, 방재 2종, 보건 8종, 산림 3종, 동물생태 3종, 수자원 4종

- (기후변화감시요소) 대기조성 8종, 기상요소 6종, 자외선 3종, 육상 3종, 해양 7종

※ 기후정보포털 경로: 기후변화시나리오 > 미래 기후전망, 과거 기후변화,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기후변화감시 > 종합 기후변화감시정보, 기후변화 감시자료


-분석서 작성 안내-

○ 분석자료는 신뢰도가 있는 모든 분야의 자료를 활용할 수 있으나, 기후정보포털(www.climate.go.kr)에서 제공되는 자료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

○ 우수작은 기후위기 인식확산을 위한 홍보자료로 활용될 예정으로, 논문 수준의 학술적 연구가 아닌 일반인(중학생 이상)이 이해하기 쉽고 흥미있는 분석이어야 함

  ※ 분석예시(경진대회 누리집 - 분석 경진대회 - 수상작 게시판(2021년 수상작 게시))을 참고하여 작성 *'2021년 수상작 게시' 텍스트 누르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

○ 새로운 관점에서 기후변화를 볼 수 있는 독창적인 주제와 기후변화 과학정보 확산에 효과적인 참신한 아이디어 제안을 포함하여야 함


*시상내역

총 7명(팀) (대상 1, 최우수상 1, 우수상 2, 장려상 3)

총 7명(팀), 240만원


*문의사항

○ 운영사무국: 070-8804-5042

○ 운영 시간: (월~금) 10:00 ~ 18:00

 *공휴일 제외

첨부파일
  • [붙임2]기후변화 분석 요약서
  • ★기후변화분석경진대회공모요강

팀원모집 글

관심 있을 만한 공고

이 공고도 보기